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려고 마음을 잔뜩 떼어내다간

서른쯤 되었을  남는 없단다.

그럼 새로운 인연에게 내어줄 없지.


그런데 아프기 싫어서

모든 감정을 버리겠다고?


너무 낭비지.


나도 기회는 있었지만

너희와 같은 감정은 가져봤어.


뭔가가...

뒤에서 붙잡았지.

앞을 막아서기도 하고.


어떻게 살든  소관이지만

이것만 명심하렴.


우리의 몸과 마음은  한번 주어진단다.


그런데...


너도 모르는 사이에 마음이 닳아 해지고

몸도 그렇게 되지.


아무도 바라봐주지 않는 시점이 오고

다가오는 이들이 훨씬 적어진단다.


지금의 슬픔

괴로움

모두 간직하렴.


네가 느꼈던 기쁨과 함께.


-


책보다 영화가 더 좋은 장면.

각색한 대사도 번역도 참 좋다.


원작에서는 이것.


"‥‥(중략)‥ 네 입장에서 말하자면, 고통이 있으면 달래고 불꽃이 있으면 끄지 말고 잔혹하게 대하지 마라. 밤에 잠 못 이루게 하는 자기 안으로의 침잠은 끔찍하지. 타인이 너무 일찍 나를 잊는 것 또한 마찬가지야. 순리를 거슬러 빨리 치유되기 위해 자신의 많은 부분을 뜯어내기 때문에 서른 살이 되기도 전에 마음이 결핍되어 새로운 사람을 만나 다시 시작할때 줄 것이 별로 없어져 버려. 무엇도 느끼면 안 되니까 아무것도 느끼지 않으려고 하는 건 시간 낭비야!"


나는 아버지의 말을 이해해 보려고 할 수도 없었다. 놀라서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


"내 말이 경솔했니?"

나는 고개를 저었다.


"그럼 한마디만 더 하자. 분위기가 좀 나아질 거다. 가깝기는 했는지 몰라도 난 네가 가진 것을 가지지 못했다. 언제나 뭔가 나를 저지하거나 길을 막아섰지. 네가 네 삶을 어떤 식으로 사는지는 네 마음이다. 하지만 기억해. 우리의 가슴과 육체는 평생 한 번만 주어지는 거야. 대부분의 사람은 두 개의 삶을 살 수 있는 것처럼 살아가지. 하나는 실물 모형의 삶, 또 하나는 완성된 형태. 하지만 그 사이에 온갖 유형이 존재하지. 육체의 경우에는 아무도 바라봐 주지 않고 가까이 오려고는 더더욱 하지 않는 때가 온다. 그러면 슬픔뿐이지. 나는 고통이 부럽지 않아. 네 고통이 부러운 거야."